글_ 홍지영
해운대금융센터 PB
최근 ELB 발행액이 ELS를 초과하고, ELB로 뭉칫돈이 몰린다는 뉴스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연초에 홍콩 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한 ELS의 대규모 손실 사태로 떠들썩했는데, ELS랑 ELB가 비슷한 건가? 위험한 상품 아닐까? 예금금리가 요즘 너무 많이 떨어졌고, ELB상품의 금리가 더 높은 것 같은데 가입해도 괜찮은 걸까? 한 번이라도 이런 생각을 해보셨던 분들을 위해 ELS와 ELB의 차이점과 장단점, 그리고 현재 당행에서 판매하고 있는 ELB 상품들을 예로 들어 ELB에 대해 알아보자.

원금 지급을 보장하는 ELB
ELS(Equity Linked Securities, 주가연계증권)와 ELB(Equity Linked Bond,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는 특정 주가지수나 개별종목 주가를 기초자산으로 정하고, 해당 기초자산이 정해진 조건을 충족할 때 정해진 금리를 주는 상품이란 점에서 같다. 하지만, ELS(주가연계증권)는 기초자산이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지만, ELB(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는 발행하는 증권사가 원금 지급을 보장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증권사는 ELB를 발행하면서 모집한 투자금의 약 90%를 매우 안전한 채권과 CD에 투자하고, 나머지는 파생상품이나 개별종목에 투자하며, 투자한 자산에서 지급되는 이자와 증권사 고유 자금을 여러 투자기법, 주식관련 선물 옵션을 활용해 초과수익을 낸다. ELS보다 위험성은 낮으면서도 예금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점에서 매력적인 상품이다.
단, 발행사가 파산할 경우 원금의 일부 또는 전액을 돌려받지 못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신용등급이 높은 발행사의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 중도 상환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하여 자금의 사용 시기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가입하는 것이 좋다.
부산은행 ELB 상품 5가지 비교
당행에서 판매하고 있는 ELB 상품 5가지를 예로 들어 상품들의 차이를 살펴보자.
① ELB-A ② ELB-B
ELB-A와 ELB-B 상품은 만기는 3년으로 ELS처럼
6개월마다 조기상환의 기회가 주어지며, 조기상환조건이 충족되거나 만기 시에는 원금이 지급된다. 수익은 월수익평가일에 조건 충족 시 매월 지급되는 형태인 월지급식 하이파이브형 상품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두 상품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ELB-A 상품은 기초자산을 甲사의 보통주로 하여, 매월 월수익평가일에 평가 가격이 기준가 대비 일정 수준 이상이면 약정된 연 수익률이 매월 지급되지만, 월수익평가일에 기준가 대비 일정 수준 미만이면 수익을 지급하지 않는다. 6개월마다 돌아오는 조기상환 관찰일에 기초자산이 기준가 대비 일정 값 이상일 경우 원금이 조기상환 되며, 만기에는 기준가 대비 상관없이 원금이 지급되는 상품이다.
ELB-B 상품은 기초자산을 주가지수X와 주가지수Y로 하며, 두 지수가 월수익평가일에 기준가 대비 일정수준 이상이면 약정된 이자가 매월 지급되며, 월수익평가일에 일정 수준 미만이면 수익을 지급하지 않는다. 6개월마다 돌아오는 조기상환관찰일에 기초자산이 기준가 대비 일정 값 이상일 경우 원금이 조기상환 되며, 만기 시에는 기준가 대비 상관없이 원금이 지급되는 상품이다.
③ ELB-C ④ ELB-D
다음으로는 기초자산의 가격이 특정 지점 이상일 때와 특정 지점 이하일 때의 수익률이 다른 디지털구조형식의 ELB 상품으로 만기가 6개월인 ELB-C 상품과, 3개월인 ELB-D 상품이 있다.
기초자산은 둘 다 Z사 보통주이며 만기평가일에 Z사 보통주의 최종기준가격이 최초기준가격의 일정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지급되는 수익률과, 일정 수준 이하인 경우 지급되는 수익률이 있으며 발행사의 신용위험이 아니면 약속된 금리를 지급하는 구조이다
⑤ ELB-E
마지막으로 멀티찬스(MULTI-CHANCE)구조의 ELB-E 상품이 있다. ELB-E 상품의 기초자산은 Z지수이다. 만기는 1년이며, 3개월마다 돌아오는 수익지급관찰일 중 한 번이라도 기준가 대비 일정 수준 이하이면 당초 약정된 수익을 지급하며, 관찰일 모두 기준가 대비 일정수준을 초과할 경우에는 만기 시 원금만 지급하는 상품이다.
적은 위험, 예금보다 높은 수익
이상 살펴보았듯이 ELB 상품은 발행사가 수익구조나 수익률, 기간 등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기초자산도 주가지수뿐만 아니라 개별종목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등 다양한 조건으로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ELB는 원금은 보장되면서도 지수형 ELS 수익률과 유사한 수준의 수익을 제공하는 저위험 중수익 상품으로 위험은 적으면서 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추구하는 고객에게 안성맞춤으로, 원금보장뿐만 아니라 일부 이자를 확정지급하는 상품도 있는 만큼 ELB의 인기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