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마이데이터, 어떻게 활용해야 할까?

마이데이터는 여러 기업에 흩어져 있는 개인 금융정보를 수집해 알기 쉽게 통합해 제공하는 금융서비스다. 잘 활용하면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아직 잘 모르는 분들이 많다. 마이데이터를 활용해 보다 더 스마트하게 자산을 관리하고 투자를 해보자.

 

글. 한수혁 KG제로인 상무이사

 

잘 이용하면 큰 도움, 마이데이터 서비스

 

‘휴면예금 찾아 주기’ 캠페인이 있었다. 잊고 있던 예금을 찾아 ‘웬 횡재!’라고 좋아했던 기억이 난다. 올해 1월부터 시작된 마이데이터사업. 잘 이용하면 내자산을 한 눈에 파악하고, 소비 흐름까지 볼 수 있다. 앞으로는 보건, 의료 데이터와 연결되어 내 생활에 필요한 도움을 폭넓게 받을 수도 있다. 지금은 시행한 기간이 짧아서 그런지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은행, 증권회사를 비롯한 사업 허가를 받은 곳에서 경품까지 제공하고 있지만 국민 4명 중 1명은 이 서비스를 아예 모른다.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가 지난 1월 10일부터 닷새 동안 전국 남녀 1천 명을 온라 인으로 조사한 결과, 전혀 모른다는 응답이 25.8%에 달했다. 마이데이터는 본인에 대한 개인신용정보를 금융회사로부터 마이데이터사업자에게 전송하 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다. 한국신용정보원이 운영하고 있는 마이데이터 종합포털을 보면 은행, 카드사, 증권사, 통신사 등에 흩어져 있는 개인의 금융 정보를 수집해서 고객이 알기 쉽게 통합해서 제공하는 서비스라고 나온다.

 

정보의 중심이 개인으로! 코페르니쿠스적 전환

 

지금까지는 내 정보라 하더라도 내가 아니라 금융회사나 핀테크 회사, 혹은 카카 오, 네이버 같은 대형 포털이 그것을 요리했다. 작년 8월 관련법이 통과되거나 개정되면서 올해부터는 정보의 중심이 금융회사에서 개인으로 옮겨왔다. 이런 면에서 코페르니쿠스적인 전환이라 할 만하다. 소비자가 권리를 가진 만큼 활용을 잘한다면, 예금부터 보험, 투자에 이르는 금융 생활을 보다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지금 은행의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가입해서 여러 회사에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불러오도록 요청했다면, 한 눈에 예금, 대출, 투자, 보험, 카드 내역을 알 수있고, 1주일 단위로 바뀌는 부분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다. 나에게 맞는 금융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고, 재무 상황에 대한 컨설팅도 개인 맞춤형으로 받을 수 있다. 어느 회사의 서비스에 가입하는 게 좋을까. 중복 가입이 가능하므로 주거래 은행, 증권 등에 우선 가입하고 마이데이터 사업에만 집중하는 핀테크 회사의 서비 스에도 가입하는 게 좋겠다. 이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고 얼마 되지 않아 그런지 개선할 점도 눈에 보인다. 무엇보다 그전부터 제공되던 ‘전자 가계부’나 ‘마이 뱅킹’ 서비스와 비교해서 별로 달라진 게 없다는 평가처럼, 마이데이터만의 뚜렷한 차별점을 찾기 힘들다. 이는 금융정보 외에 소득, 건강정보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는 제도적인 한계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스마트하게 관리하고 투자하자

 

그래도 앞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도 좋아지고 이용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므로 지금 관련 주식에 투자하는 것도 좋겠다. 네이버에서 ‘마이데이터 테마주’로 분류한 종목은 2월말 현재 ‘유비벨록스’를 비롯해 10개다. 그 중 ‘쿠콘’은 마이데이터 사업자로 인가받았을 뿐 아니라, 허가받은 회사에게 필요한 API 연결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어서 눈에 띈다.
 

데이터가 돈이 되는 시대라고 하지만 지금까지 개인 투자자 입장에서는 와 닿지 않는 말이었다. 마이데이터 시대는 분명 달라지리라 기대한다. 스마트하게 자산을 관리하고 보다 똑똑하게 투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뻔하다’고 여기지 말고 가입해서 써 봐야 한다. 뜻밖에 잊고 있던 예금을 찾았 듯이, 자신도 모르던 투자금액을 찾을 수도 있고, 더 나아가 잘못된 투자습관을 고칠 수도 있지 않을까. 최소한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서 자신이 무엇을 잘 하고 있는 지, 못하고 있는지는 알 수 있으리라.

 


 

 

Tip 1_ API란?

API란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의 약어로, 마이데이터사업자와 정보제공자간 개인신용정보 송·수신 시 안정성과 신뢰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준수하여야 할 표준 어플 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규격을 뜻한다. API는 은행·핀테크 기업뿐만이 아닌 증권사, 카드사등 다양한 업계에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고도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Tip 2_ 마이데이터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싶다면?

한국신용정보원이 운영하는 마이데이터 종합포털을 찾아가 보자.

https://www.mydatacenter.or.kr:34